▲ 일망타진(一網打盡) ▲
이 말의 뜻은 한 번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다 잡는다는 뜻으로
곧 범인들이나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잡는다는 말입니다.
이 말의 유래는 북송(北宋) 4대 황제인 인종 때의 일입니다.
당시 북방에는 거란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남쪽에서는
중국의 일부였던 안남(安南)이 독립을 선언하는 등
정세가 불리하게 돌아가는데도 인종은 연약 외교로 일관했습니다.
그러나 내치에는 괄목할 만한 치적이 적지 않았습니다.
전한(前漢) 5대 황제인 문제와 더불어 어진 임금으로 이름난
인종은 백성을 사랑하고 학문을 장려했습니다.
그리고 인재를 널리 등용하여 문치(文治)를 폄으로써 이른바
'경력의 치'로 불리는 군주 정치의 모범적 성세를 이룩했습니다.
이 무렵, 청렴 강직하기로 이름난 두연이 재상이 되었습니다.
당시의 관행으로는 황제가 상신들과 상의하지 않고 독단으로
조서를 내리는 일이 있었는데, 이것을 내강이라 했습니다.
그러나 두연은 이 같은 관행은 올바른 정도를 어지럽히는 것이라하여
내강이 있어도 이를 묵살, 보류했다가 10여 통쯤 쌓이면 그대로
황제에게 돌려보태곤 했습니다.
이러한 두연의 소행은 성지를 함부로 굽히는 짓이라하여
조야로부터 비난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런 때 공교롭게도 관직에 있는 두연의 사위인 소순흠이
공금을 유용하는 부정을 저질렀습니다.
그러자 평소 두연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은 어사 왕공진은
쾌재를 부르고 소순흠을 엄히 문초했습니다.
그리고 그와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을 모두 공범으로 몰아 잡아
가둔 뒤 재상 두연에게 이렇게 보고했습니다.
"범인들을 일망타진(一網打盡)했습나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그 유명한 두연도 재임 70일 만에
재상직에서 물러나고 말았습니다.
이후부터 일망타진이란 말이 쓰이게 되었습니다.
옹기여인 / 김정은
추녀끝에 한자락 노을을 걸고
오늘도 가슴에 풀었구나
수더분한 몸매로 담밑에 앉아
투정없이 살아온 여염집 여인
세상살이 싱거우면 소금을 담아
말없이 건네주는 말없이 건네주는
말없이 건네주는 그대 옹기야
목덜미도 다소곳 눈웃음 짓고
오늘도 주인을 닮았구나
다시봐도 은은한 얼굴을 하고
어디서나 만나는 정다운 여인
세상살이 무심하면 속으로 울고
말없이 살아가는 말없이 살아가는
말없이 살아가는 그대 옹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