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래 |
|
시조 : 기우성(奇友誠) 시조 기우성(奇友誠)은 기자의 49세손으로 백제 은조왕때 시중으로 입사했다 한다. 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인 애왕(41대 준왕)이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금마(현재의 익산)군에 마한을 세웠으며 마한 말기의 원왕에게 세형제가 있었는데 우평은 고구려에서 태원 선우씨, 우성은 백제에서 행주 기씨, 우경은 신라에서 청주 한씨가 되었으며 기우성의 후손들이 본관을 행주로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대의 기록이 전하지 않아 고려 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기순우(奇純祐)를 1세조로 하고있다. |
▣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
기준격(奇俊格, 1594 甲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기저(奇○, 1594 甲午生) : 문과(文科) 성종21년(1490) 별시 을과(乙科) 기대승(奇大升, 1527 丁亥生) : 문과(文科) 명종13년(1558) 식년시 을과(乙科) 기수발(奇秀發, 1596 丙申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알성시 을과(乙科) 기진흥(奇震興,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인조22년(1644) 정시 병과(丙科) 기형(奇逈,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식년시 병과(丙科) 기자헌(奇自獻, 1562 壬戌生) : 문과(文科) 선조23년(1590) 증광시 병과(丙科) 기침(奇琛, 1622 壬戌生) : 문과(文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기경현(奇慶鉉, 1814 甲戌生) : 문과(文科) 철종1년(1850) 증광시 병과(丙科) 기양연(奇陽衍, 1827 丁亥生) : 문과(文科) 고종4년(1867) 식년시 을과(乙科) 등 모두 91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 (문과 22명, 무과 16명, 사마시 50명, 역과 2명, 의과 1명)
|
▣ 항렬자 |
|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91世孫은 90代孫) |
▣ 본관 연혁 |
|
본관소재지 : 경기도 고양 행주(幸州)는 경기도 고양시(高陽市) 행주산성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시대에는 개백현(皆伯縣)이었고 고구려가 점령한 후로는 왕봉현(王逢縣)이라 불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우왕현(遇王縣)으로 고쳐 한양군의 관할이 되었다. 940년(태조 23)에 행주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양주(楊州)에 귀속되었다. 1394년(태조 3)에는 고봉현(高烽縣)에 통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양군 지도면(知道面)이 되었다가, 1985년에 지도읍으로 승격하였다. 1992년 고양군이 고양시로 승격됨에 따라 그 중심지역은 행주동으로 개편되었다. |
▣ 인구수 |
|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행주기씨는 1985년에는 총 5,244가구 21,756명, 2000년에는 총 6,660가구 21,53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