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
한국의 역사 (연표) | |||||||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
환인 환웅 | ||||||
시 대 구 분 ‥ 원 삼 국 | 삼 국 | 남 북 국 | 후 삼 국 |
고조선 | ||||||
진국 | |||||||
삼한 | 옥 저 |
동 예 |
부 여 | ||||
진 한 |
변 한 |
마 한 | |||||
가 야 |
백 제 |
||||||
고 구 려 | |||||||
신 라 | |||||||
발 해 | |||||||
후 백 제 |
태 봉 | ||||||
고려 | |||||||
・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 삼별초의 항쟁 ・ 홍건적의 고려 침공 | |||||||
조선 | |||||||
・ 역대국왕 / 조선왕조실록 ・ 임진왜란 / 병자·정묘호란 ・ 경복궁·창덕궁·종묘·화성 | |||||||
대한제국 | |||||||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대한민국임시정부 | |||||||
군정기 |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마한(馬韓)은 삼국시대 초기 한반도 서남부에 있던 삼한(三韓)의 하나이다. 서해에 접하고, 동쪽은 진한(辰韓), 남쪽은 변한(弁韓)에 접해 있었다. 나중에 백제(百濟)에 병합되었다.
마한인은 정주민이며, 농업이 중심이다. 각각의 부족에게는 족장이 있고 큰 부족의 통솔자를 신지(臣智), 그보다 작은 부족의 통솔자를 읍차(邑借)라고 불렀다.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동이전(東夷傳)에 의하면 취락에는 성이 없고, 54개국이 존재했다. 그 중의 백제국(伯濟國)이 백제로 성장한다.
목차[숨기기] |
[편집] 역사
기록에 따르면 마한의 건국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나와 있지는 않으나, 조선시대까지는 기원전 2세기 초에 기자조선의 준왕(準王)이 위만(衛滿)을 피하여 바닷길로 달아나, 월지국(月支國)[1]에 세운 나라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로, 마한의 9대 왕의 연표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발굴된 유적의 특징으로 볼 때에, 원주민들은 기원전 3세기 이전부터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정치집단을 이루었고, 목지국을 중심으로 한 소국연맹의 형태를 유지했다고 여겨진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마한은 백제 온조왕(溫祚王)이 9년에 멸망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지》를 비롯한 많은 중국 사서에서 마한의 존재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온조왕 때 멸망한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일반적으로 이 마한 정복 기사는 후대의 기록을 온조왕 대로 끌어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삼국사기》를 신뢰하는 학자들은 이 시기에 마한의 중심 세력이 멸망하였으며, 이후에 등장하는 마한은 마한의 잔존 세력이라 주장한다.[2]일부에서는 백제가 마한을 자칭한 것이 사료에 기록된 것이라 주장하기도 한다.[3]
백제가 체제를 정비하고 고대국가로 발전하기 시작한 고이왕(古爾王) 시기부터 마한의 중심 세력이 목지국에서 백제로 이동하였다고 추측하고 있다. 이후에도 마한의 잔존 세력은 전라남도 해안 지방에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이후 근초고왕 때 마한이 완전히 멸망한 것으로 본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따르면 일본은 369년 백제군과 연합하여 한반도 남부를 정복하고 그 땅을 백제에 하사하였다고 한다. 이 기사는 정황 상 일본이 주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이 마한을 정복한 기록으로 해석하고 있다.[4]
[편집] 문화적 특징
마한의 문화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성곽은 없으며, 활, 방패, 창 등을 잘 다루었다.
- 집은 초가지붕에 흙으로 벽을 세웠으며, 문을 윗쪽으로 내었다.
- 옥을 좋아하고, 금, 은, 비단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 농업과 잠업에 힘썼다.
[편집] 마한 54개국
큰 나라는 1만여 호, 작은 나라는 수천 호라고 하며, 총 10여만 호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추산하면 마한의 인구는 약 50만 명 정도라고 볼 수 있다.
- 감해국(感奚國)
-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
- 건마국(乾馬國)
- 고랍국(古臘國)
- 고리국(古離國)
- 고비리국(古卑離國)
- 고원국(古爰國)
- 고탄자국(古誕者國)
- 고포국(古蒲國)
- 구로국(狗盧國)
- 구사오단국(臼斯烏旦國)
- 구소국(狗素國)
- 구해국(狗奚國)
- 내비리국(內卑離國)
- 노람국(怒藍國)
- 대석삭국(大石索國)
- 막로국(莫盧國)
- 만로국(萬盧國)
-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
- 모수국(牟水國)
- 목지국(目支國)
- 백제국(伯濟國)
- 벽비리국(辟卑離國)
- 불미국(不彌國)
- 불사분사국(不斯濆邪國)
- 불운국(不雲國)
- 비리국(卑離國)
- 비미국(卑彌國)
- 사로국(駟盧國)
- 상외국(桑外國)
- 소석삭국(小石索國)
- 소위건국(素謂乾國)
- 속로불사국(速盧不斯國)
- 신분활국(臣濆活國)
- 신소도국(臣蘇塗國)
- 신운신국(臣雲新國)
- 신흔국(臣國)
- 아림국(兒林國)
-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
- 염로국(冉路國)
- 우휴모탁국(優休牟涿國)
- 원양국(爰襄國)
- 원지국(爰池國)
- 일난국(一難國)
- 일리국(一離國)
- 일화국(日華國)
- 임소반국(臨素半國)
- 자리모로국(咨離牟盧國)
- 지반국(支半國)
- 지침국(支侵國)
- 첩로국(捷盧國)
- 초리국(楚離國)
- 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
- 치리국국(致利鞠國)
[편집] 마한 왕계
마한왕의 역대왕의 기록은 청주 한씨 족보에 각 왕의 명칭과 치세기간이 기록되어 있는데, "(마한 건국~멸망까지 9대)후조선 마지막 哀王(애왕)의 망명 후 馬韓(마한) 건국에서 멸망까지 9代 王位 世系"가 등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족보 속의 왕계보는 숭조사업의 일환으로 왜곡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역사로 인정되지 않는다.[5]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1 | 무강왕(武康王),애왕(哀王) | 한준(韓準) | 고조선의 마지막 왕 | |
2 | 강왕(康王) | 한탁(韓卓) | 4년 | |
3 | 안왕(安王) | 한감(韓龕) | 32년 | |
4 | 혜왕(惠王) | 한식(韓寔) | 13년 | |
5 | 명왕(明王) | 한무(韓武) | 31년 | |
6 | 효왕(孝王) | 한형(韓亨) | 40년 | |
7 | 양왕(襄王) | 한섭(韓燮) | 15년 | |
8 | 원왕(元王) | 한훈(韓勳) | 26년 | |
9 | 계왕(稽王) | 한정(韓貞) | 16년 |
[편집] 주석
- ↑ 또는 목지국(目支國)
- ↑ 이종욱, 〈백제의 국가형성〉, 《대구사학》, 1976
- ↑ 박영규, 《한권으로 보는 백제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2000년
- ↑ 김병남, 〈백제 근초고왕대의 남방 정벌〉, 《한일관계사연구》15집, 2001
- ↑ 마한구세왕위세계(馬韓九世王位世系), 《청주한씨중앙종친회》, 2011년 2월 20일 확인
[편집] 참고문헌 및 링크
- 진수(陳壽), 《三國志》〈魏書〉「東夷傳」, 중국 진(晉)나라 때 저술.
- 김광, 《대동사강(大東史綱)》, 대동사강사, 1926
- 이현혜, '마한' - digital 한국학
- 마한 - 엠파스 백과사전
- 마한&백제 사이트
'가족사랑 > ◆-幸州奇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황후(奇皇后)/지식에서퍼옴 (0) | 2011.11.21 |
---|---|
행주기씨/백과사전 (0) | 2011.11.21 |
기 (성씨)위키백과, (0) | 2011.08.02 |
고봉 기대승 (0) | 2010.12.22 |
월봉서원/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