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양→ ↓희석배수
|
10ℓ
|
20ℓ |
50ℓ |
100ℓ |
200ℓ |
250ℓ |
400ℓ |
500ℓ |
600ℓ |
|
250 배 |
40 |
80 |
200 |
400 |
800 |
1,000 |
16,00 |
2,000 |
2,400 |
500 배 |
20 |
40 |
100 |
200 |
400 |
500 |
800 |
1,000 |
1,200 |
1,000 배
|
10 |
20 |
50 |
100 |
200 |
250 |
400 |
500 |
600 |
1,500 배
|
6.7 |
13.3 |
33 |
66 |
133 |
166 |
266 |
333 |
400 |
2,000 배 |
5 |
10 |
25 |
50 |
100 |
125 |
200 |
250 |
300 |
2,500 배 |
4 |
8 |
20 |
40 |
80 |
100 |
160 |
200 |
240 |
3,000 배 |
3.3 |
6.7 |
16 |
33 |
66 |
83 |
133 |
166 |
200 |
4,000 배 |
2.5 |
5 |
12.5 |
25 |
50 |
62 |
100 |
125 |
150 |
5,000 배 |
2 |
4 |
10 |
20 |
40 |
50 |
80 |
100 |
120 |
| |
|
 |
|
|
※ 원하시는 정보를 보시려면, 각각의 작물을 선택하세요 ※ |
 |
|
 |
|
생육단계 |
시기 |
주요농작업 |
병해충 방제
|
병해 |
해충 |
|
휴면기 |
1 |
상 |
|
|
|
|
|
중 |
|
|
|
|
하 |
|
|
|
|
2 |
상 |
|
|
월동병해 |
월동해충 |
중 |
|
|
낙엽 및 조피제거 |
|
하 |
밑거름 |
3 |
상 |
|
|
중 |
|
|
하 |
묘목식재 |
|
4 |
상 |
|
|
|
|
|
배 명 나 방 | 에 스 엠 파 레 스
유 제 |
|
|
|
중 |
|
|
검 은 별 무 늬 병 |
|
가 루 깍 지 벌 레 | 에 스 엠 메 치 온
유 제 |
배 나 무 이 | 이 응 애 충
유 제 |
|
|
인공수분 및 적화 |
|
|
발아기 |
하 |
|
|
검 은 무 늬 병 | 새 노 브 란
수 화 제 |
|
5 |
상 |
지베레린 도포제 처리시기
|
|
|
중 |
|
|
웃거름 |
과실비대기 |
|
하 |
|
|
|
6 |
상 |
|
봉지 씌우기 |
|
|
|
중 |
|
|
|
|
하 |
|
|
|
꽃눈분화기 |
7 |
상 |
|
|
|
|
중 |
|
|
|
|
|
하 |
|
|
|
|
|
|
8 |
상 |
|
|
|
|
|
|
중 |
|
|
|
|
|
조생종수확기 |
하 |
|
|
|
|
|
|
9 |
상 |
|
수확. 출하 |
|
|
|
|
|
|
|
|
|
|
|
중 |
|
|
|
|
|
중생종수확기 |
|
웃거름 |
|
|
|
하 |
|
|
|
|
10 |
상 |
|
|
|
|
|
중 |
|
|
|
|
|
|
만생종수확기 |
하 |
|
|
|
|
|
|
|
11 |
상 |
|
|
|
|
|
|
|
|
|
|
중 |
|
|
|
|
|
|
|
|
|
|
|
|
|
|
|
|
|
|
|
휴면기 |
하 |
|
|
|
|
|
|
|
|
|
12 |
상 |
|
|
|
|
|
|
|
|
|
중 |
|
|
|
|
|
|
|
|
하 |
|
|
|
|
|
|
|
|
| |
|
 |
|
|
검은별무늬병(Scab) |

학 명 - Venturia nashicola Tanaka et Yamamoto
병 징 - 잎, 과실, 햇가지, 눈 등에 발생한다. - 잎에는 처음 황백색, 다각형 병무늬가 생기지만 나중에는 흑색의 그을음 모양의 분생포자가 생겨 까맣게 변한다. - 어린 과일에는 일부가 황변하고, 그곳에 그을음 모양의 포자가 형성되며, 어린유과는 일찍 낙과하고, 성숙과는 단단한 더뎅이 증상이 나타나며, 균열이 생긴다. - 햇가지의 병무늬는 처음 흑색의 둥근 병반이형성되고, 진전되면 타원형으로 변하며, 그 표면에 그을음 모양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된다. - 오래되면 병무늬는 괴사되고 퇴색하여 나무껍질과 유사한 색깔을 나타내며, 건전부와 병환부는 균열이 생긴다
방 제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잎이나 가지는 제거한다. - 포장이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세를 강하게 관리한다. - 봄에 비가 자주오면 어린과일과 새로나온 잎은 반드시 병에 걸리므로, 조기에 약제를 살포한다. - 5월경 및9월 하순이후 꽃눈속으로 병원균이 침입하므로 이 시기에 에스엠지오판엠 수화제, 에스엠가벤다 수화제등을 약제를 살포한다.
 |
|
|
붉은별무늬병(Rust) |

학 명 - Gymnosporangium asiaticum Miyabe et Yamada
병 징 - 어린 잎, 과실, 햇가지에 발생한다. - 잎에는 처음 등황색의 아주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커지면서 병반뒤에는 담황색의 긴모상체 가 생긴다. - 개화기를 전후해서 비가 자주오면 열매와 햇가지 에도 이와 비슷한 심한 병징이 나타 난다. - 오래된 병든 잎은 황색으로 변하고, 심하면 잎전 체가 붉게 물든다. -피해가 심한 포장은 탄소동화작용이 방해되 고 기형으로 되며, 조기낙엽의 원인이 된다
방 제 - 배나무 단지내 향나무 식재를 피한다. - 향나무에도 약제를 살포한다.(4월,5월,6월) - 4∼5월 동포자 발아와 소생자 비산시기 에스엠티디폰 수화제를 집중적으로 약제를 살포한다.
검은무늬병( Black spot ) |

학 명 - Alternaria kikuchiana Tanaka
증 상 -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 잎에서는 원형 또는 부정형의 검은 병반이 겹무늬와 함께 생기고, 심하게 감염되면 조기낙엽이 된다. - 어린 가지에서는 흑갈색의 반점으로 나타나며, 중앙에 검은 곰팡이가 밀생하는데, 후에 경화되고, 열과가 된다. -병든 성과는 쪼개지지는 않으나, 연화되면서 썩고, 일찍 떨어지기도 한다
방 제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병발생 초기부터 새노브란 액제를 살포한다. |
역 병(collar and fruit rot) |

학 명 - Phytophthora cactorum Schreenk
병 징 - 줄기 : 주로 1년생 묘목에 발생이 많으며 성목은 대체로 역병에 저항성이다. 지제부 줄기는 흑갈색으로 썩으며 부정형의 큰 병반은 줄기 둘레 전반에 나타나고 위로 진전되는데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면 수침상의 병반이 건전부위와 불분명하게 나타난다. - 잎 : 흑갈색의 큰 병반이 부정형으로 확대되는데 대개의 경우 1개의 잎에 1∼3개의 병반이 형성된다. - 가지 : 주로 1년생 가지에 발생이 많지만 2∼3년생 가지에도 발생된다. 병원균은 세포분열이 왕성하고 부드러운 조직인 화총 형성부위로 가장 용이하게 침투하는데 일단 감염되면 화총 전체는 검게 고사하고 화총 생성 부위의 가지는 흑갈색의 큰 부정형 반점이 형성된다.
방 제 - 건전 묘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줄기가 땅속 깊이 묻히지 않도록 심는다. - 물빠짐이 나쁜 땅에 식재를 금하고 배수를 철저히 하여 과수원이 침수되지 않도록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