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안정적 결실관리 기술
문 제 점 |
-
환경오염과 농약의 과다사용, 개화기 일기 불순에 의한 화분매개 곤충 활도 저하 등으로 안정적 착과가 되지 않고 있으며 지난해 착과율 조사 결실불량 과원이 26%되었음
-
부분별한 봉지 사용과 GA도포제 남용으로 변형과, 부패과, 오염과 발생이 많아지고 수비둔화의 용인이 되고 있다. |
가. 인공수분
1) 인공수분효과
2) 인공수분방법
인공교배 작업순서 |
꽃의 채취 → 약의채취 → 약정선 → 개약 → 화분의 정선 → 증량 → 교배 → 화분의 저장 |
(가) 꽃의 채취
<개화정도와 화분채취 및 발아율>
개화정도 |
1,000화당 약량(cc) |
1,000화당 화분량(cc) |
화분채취율(%) |
발아율(%) |
20% 개화 |
45.0 |
13.5 |
30.0 |
90.5 |
80% 개화 |
20.0 |
7.0 |
35.0 |
91.4 |
전체 개화 |
17.0 |
6.0 |
35.0 |
93.7 |
(나) 약의 채취
(다) 약정선
(라) 개약
-
개약에 적당한 온도는 20~25℃, 습도 50%전후 개약시간은 12~24시간 소요(소량일 때 온돌방에서 벼 육묘상자 이용)
-
20℃이하에서는 오랜 시간이 거리며 30℃이상에서는 개약은 빠르나 발아력이 떨어짐
(마) 화분정선
-
10a당 인공수분에 필요한 꽃은 5,000~6,000개(800~2,400g) 약은 80~240g 화분은 8~24g 정도이나 화분의 활력, 증량제의 배수, 인공 수분기구의 종류 결실목표, 과실수 등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
아세톤을 이용한 화분정선 방법
- 2ℓ 의 유리용기(비이커)에 1ℓ정도의 아세톤을 부어놓은 다음 개약된 약을 100메쉬의 소형체(고운천)에 담아 아세톤이 들어있는 용기내에 침지하여 상하좌우로 흔들어 화분을 털어낸다.
(바) 발아검정
- 화분의 발아율이 60%이상 되는 화분은 5~10배 석송자를 섞어 사용하고 30%이하의 발아율을 보이는 화분은 사용치 않거나 석송자를 섞지 않는다.
(사) 인공수분 실시
-
배꽃은 개화당일부터 약 30일까지 수정능력을 보유하며 불량한 환경 조건인 고온, 건조시에는 수정능력이 단축된다.(수분 시각은 오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
수분시기는 해당 품종의 40~80%피었을 때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꽃눈 3개당 1개씩 3~5번화에 실시한다. 3~5번화의 개화시기는 첫 꽃이 피기 시작 한지 3~4일째이다.
<개화시기와 결실율>
개화당일~3일후 |
개화 4일후 |
개화 5일후 |
개화 6일후 |
90%이상 |
70~80% |
50%이하 |
30%이하 |
(아) 화분저장
-
꽃가루는 고온다습에 약하며 25℃이상에서는 4~5일이 지나면 발아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습한 상태에서 25℃이상 되면, 3일째 완전히 생명력을 상실하게 된다.
-
채취한 화분을 단시일내에 사용할 경우에는 냉장 (4℃)하여 사용하고 장기간 저장할 때는 제습제(실리카코겔)와 함께 밀봉하여 -20℃이하에서 냉동저장
3) 적기 알맞는 열매 솎기로 대과생산 및 결실안정
(가) 적과 정도와 시기
어린과실의 종류 |
![](http://www2.rda.go.kr/tpd/materials/tech2000/korean/bai/nsa/nsa_3_02.jpg)
|
-
개화후부터 1개월 전후에 세포수가 결정되므로 일찍 적과하여 남길 과실의 세포분열 촉진
-
소과 품종은 1과당 25~30잎, 중과 품종은 30~40잎, 대과 품종은 50~60잎이상 확보(과실간격으로 조절할 경우 대개 20cm 전후)
1차 |
2차 |
시기 |
남기는 과실수 |
시기 |
남기는 과실수 |
5월 상중순 (낙화후 10일경) |
1과총당 1과 (3, 4번과) |
5월하순~6월상순 (낙화후 20~30일경) |
1과당 25~30잎 확보 |
(나) 적과요령
-
상품가치가 없는 과실, 나무발육에 지장을 주는 과실, 기형과실 등을 적과
-
과총 내에서 수세가 다소 강한 품종(감천배, 신고 등)은 3~4번과, 세력이 다소 약한 품종(황금배, 풍수)은 2~3과를 남김
- 과총내의 착과 번호 |
- 수정여부 판단 |
![](http://www2.rda.go.kr/tpd/materials/tech2000/korean/bai/nsa/nsa_3_03.jpg)
|
![](http://www2.rda.go.kr/tpd/materials/tech2000/korean/bai/nsa/nsa_3_04.jpg)
|
(다) 봉지씌우기
-
종비를 씌우는 시기는 대체로 생리적 낙과가 끝나고 최종 적과를 마친 후 실시
-
영산배와 감천배는 흑색봉지를 씌우면 과피의 미려도가 증진됨
-
시기 : 6월 상순 ~ 중순(만개후 30일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