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나무잎 검은 점병 방제대책 | |||||||||||||||||||||||||||||
![]() |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 ||||||||||||||||||||||||||||
![]() |
성명 : 남기웅 | ||||||||||||||||||||||||||||
![]() |
전화 : 031-290-0442 | ||||||||||||||||||||||||||||
우리나라의 배는 품질이 우수하여 국제경쟁력 있는 수출유망작목으로 각광받고 있어 그 재배 면적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70년대 후반부터 배나무잎에 검은무늬병과 유사한 이상반점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만연되어 배나무 재배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의 병해로 대두되고 있다. 이 병은 특히 신고품종에서 발생이 심하여 전국평균 약 23%의 발병주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병에 감염되면 당함량이 낮고 산함량이 높아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 발병이 심한 나무에서는 수량이 약 50% 정도 감소한다. 그동안 본 병의 원인이 불명확하여 이상 반점증상, 검은무늬병과 유사하여 유사흑반병, 도깨비병 등으로 널리 불려져 왔을뿐 방제대책이 확실히 밝혀진바 없어 농가의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남등(1996)은 본 병의 병원을 접목전염하는 closterovirus에 의한 병해로 ‘배나무잎 검은점병’으로 명명하기도 하였 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본 병의 증상, 피해 그리고 방제대책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
1. 증상 | |||||||||||||||||||||||||||||
검은 점병은 5월 중하순경부터 웃자란가지 기부잎과 열매송이 잎이 성엽이 되어 경화되면서 발생한다. 초기에는 대부분 잎 표면에 투명하게 보이는 황색반점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황색반점 의 표면이 점차 적자색으로 변하면서, 곧 흑갈색으로 변한다. 흑갈색 반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갈색으로 색택이 옅어지며 후기에는 점차 회백화되어 조직이 고사하면서 종종 구명이 생기기도 한다. 구멍이 나지 않은 반점의 죽은 부분은 함몰되어 경계가 뚜렷하다. 반점의 모양은 초기에는 주로 타원형 또는 부정다각형의 반점이 잎의 가장자리나 소엽맥 주위에서부터 발생하나 시간이 지나면서 심해져 잎 전체로 번진다. 반점의 크기는 초기에 직경이 0.9~2.5㎜의 범위(평균 1.47㎜)로 일단 발생하면 대부분 더이상 커지지 않지만 발병최성기에 갈수록 작은 반점이 합쳐져 큰 반점이 되고 점차 불규칙한 병반으로 확대되어 잎이 지저분해진다. 가을에 발생하는 잎은 주로 여름에 자란 잎에서 발생하는데 황색 반점이 적자색에서 흑갈색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기온이 15℃ 이하로 떨어지는 시기에 도달하면 흑갈색으로 변하지 못하고 잎에 그대로 황색과 적자색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병 은 병징상으로 볼 때 대부분 의 검은무늬병과 혼동하고 있으나 아래와 같은 면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첫째, 검은 점병은 주로 타원형,부정다각형의 모양이 많은데 비하여 검은무늬병은 주로 원형 이다. 둘째, 검은점병은 주로 성엽의 경화된 잎에 전면적으로 일제히 발생하지만 검은병은 주로 유엽과 유과에 발생하면서 그 크기도 대, 소 불균형으로 한 시기에 일제히 발생하지 않는다. 셋째, 검은점병은 소엽맥간에 발생하지만 검은무늬병은 엽맥에도 발생한다. 넷째, 검은점병의 경우는 발병한 잎이 뒤틀리지 않지만 검은무늬병은 반점주위에 황색을 띄면서 뒤틀리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우선 병징상에서 검은병과 큰 차이가 있고 또한 검은점무늬병은 검은 무늬병에 저항성인 신고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한다는 면에서 검은무늬병과는 명백히 다르다. | |||||||||||||||||||||||||||||
![]() | |||||||||||||||||||||||||||||
![]() | |||||||||||||||||||||||||||||
그림 1. 배나무잎 검은점병의 전형적인 증상 | |||||||||||||||||||||||||||||
2. 발병환경 | |||||||||||||||||||||||||||||
이 병의 발생시기는 웃자람가지 기부의 잎이 성엽이 되어 굳어지는 시기다. 즉 중부지방은 5월 중, 하순경에 반점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초에는 20~30%의 발병율에 달한다. 6월 중, 하순에는 발병의 최대치에 이르며 7월이 되어 기온이 올라가면 발생이 정지된다. 이 상태가 8월가지 계속 되다가 기온이 서늘해지는 9월 하순부터 다시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 중순까지 계속된다. 발병 의 최적온도 조건은 주간 23~25℃ 야간에 17~19℃이다.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발병하지만 병징 발현은 늦어진다. 또한 주간에 29℃ 이상되는 날이 계속되면 발생이 정지된다. 가지별로 반점 발생 위치를 보면 신초당 대체로 3/4 이하의 기부에서 발생이 많고 선단부에서는 발생이 적다. 신초 기부에서 10번 째 잎까지는 잎당 병반수가 약 30개 이상으로 심하게 발생한 잎이 25% 이상되고, 10번째 이상잎 은 병반수가 10개 미만으로 적다(표 1). 따라서 아랫잎으로 갈수록 병반이 많고 윗잎으로 갈수록 병반이 적거나 없다. 일단 한번 발생한 나무에서는 매년 발생하게 되는데 해가 더해가면서 그 정도가 심해진다. 대체로 나무전체에 발생하지만 몇 개의 가지에 한정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병은 고접 갱신한 과수원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병된 접수로부터 전염된 것으로 생각된다. 발생이 심한 나무는 조기에 낙엽이 되어 수세가 쇠약해지며 과실이 비대되지 않아 수량이 정상적 인 나무보다 약 50%정도 감소된다. 그리고 낙엽이 심하면 일소증상이 발생하여 동고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
| |||||||||||||||||||||||||||||
3. 피해 및 발생분포 | |||||||||||||||||||||||||||||
본병이 발생하는 나무에는 나무전체에 증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수본의 가지에 한정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일단 발생한 나무는 매년 발생하며 해가 더해 가면서 그 정도가 심해진다. 발생이 심한 나무는 조기에 낙엽이 되어 수세 가 쇠약해져 나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발병엽율이 80% 이상 심하게 발생한 나무는 정상적인 나무보다 과실이 비대되지 않아 수량이 약 50% 정도 감소되고 당의 증가가 되지 않고 산함량이 많아 품질이 크게 저하된다(표 2). 또한 낙엽이 현저하게 많이 되면 일소증상이 발생하여 동고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 11개 배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한 검은점병의 발생을 조사하여 본 결과 품종별로는 신고가 가장 많은 발생을 보여 전국평균 발병주율이 약 23%에 달하였다. 신고는 우리나라 재배면적의 약 55%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품종으로 농가의 피해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별로 보면 장십랑 주산 단지인 울산 지역에서는 신고에서 약간 발생하여 피해가 가장 적었고,전남지역에서는 신고, 금촌 추 등에서 발생율이 높아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그 밖에 안성, 평택, 전주, 조치원, 공주, 용인, 남양주, 화성 등 지역에서도 고루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었으며 특히 신고품종에서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 |||||||||||||||||||||||||||||
| |||||||||||||||||||||||||||||
4. 전 염 | |||||||||||||||||||||||||||||
이 병은 접목전염(graft transmission)에 의해서 발생한다. 배 실생대목에 이병주를 접목하고 그 위에 건전주를 2중으로 접목하면 건전주에 전염되어 발생하며, 반대로 배 실생대목에 건전주 를 접목하고 그 위에 이병주를 접목하여도 건전주에 전염되어 발생한다(표 3). 중요한 것은 이병 된 모수로부터 접수를 채취하여 인위적으로 접목하면 전염에 의해서 병해가 전파된다. 본 병에 감염되었어도 병징이 발현되지 않은 장십랑같은 잠복성 품종이 있다. 이러한 잠복성 품종에 건전한 접수로 고접하여도 접수품종이 이병성이면 병이 발생한다. 본 병 은 접목전염외에 종자, 충매, 전정도구에 의한 전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 |||||||||||||||||||||||||||||
![]() | |||||||||||||||||||||||||||||
그림 2. 접목전염 | |||||||||||||||||||||||||||||
<대목에 이병지를 접목하고 그위에 건전지를 접목하면 건전접수에 전염된다. designtimesp=20988 designtimesp=23020 designtimesp=23921 designtimesp=7072 designtimesp=7265 designtimesp=7444> | |||||||||||||||||||||||||||||
| |||||||||||||||||||||||||||||
5. 병원바이러스 | |||||||||||||||||||||||||||||
본 병의 지표식물 ps-95에 ‘신고’ 이병지를 접목접종한 후 병반이 나타난 잎을 전자현미경으로 세포내 미세구조를 검경한 결과 엽육세포질안에서 긴 굴곡성 사상형 유사바이러스 입자가 집단으 로 축적하여 존재하고 있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들 입자들을 횡으로 잘라보면 작은 원형입자의 밀집군으로 관찰되었고 그 크기는 직경이 12nm정도였다. 이병세포내에는 유사바이러스 입자외에 직경이 50~100nm크기의 원형의 소포(vesicles)가 관찰되었고 소포 중앙에는 밀집된 섬유사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 유사바이러스를 세포병리학적 특징으로 면밀히 관찰하여 볼 때 본 병은 dsrna 게놈구조를 갖는 closteroviruses의 하나로 간주된다. 본 병의 이병세포내에 존재하고 있는 긴 굴곡성 사상 형 유사바이러스 입자와 이와 관련된 소포는 대부분의 closterovirus와는 달리 사부조직에 국한 되어 있지 않고 많은 엽육세포내에서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병의 병징, 접목전염성, 섬유사를 갖고 있는 소포, 그리고 긴 굴곡성 유사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를 기초로 하여 볼 때 closterovri us에 의한 병해로 생각된다. | |||||||||||||||||||||||||||||
![]() | |||||||||||||||||||||||||||||
그림 3. 엽육세포질내에 존재하고 있는 유사바이러스 입자 | |||||||||||||||||||||||||||||
6. 보독유무검정방법 | |||||||||||||||||||||||||||||
대부분의 낙엽과수 바이러스병은 혈청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지표식물을 이용하여 검정을 한다. 본 병의 이병유무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지표식물 ps-95를 1995년에 선발하였다. 이 지표식물은 본 병과 유사한 검은무늬병에는 저항성이고, 본 병에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검정방법은 이 지표식물을 이용해서 성목은 주당 2~3곳에 고접을 하고 2~3개월후에는 이병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피검수가 바이러스를 잠복하고 있으면 지표식물 ps~95의 잎에 전형적인 검은점이 무수히 발생한다. 또한 대량으로 검정할 때에는 배실생에 피검정 품종을 삭아접목하고 그위에 지표식물을 절접하면 된다. 이때 접목시기는 빠를수록 좋고 피검품종의 접촉시간은 최소한 1일이상 접촉하고 있어야 한다. | |||||||||||||||||||||||||||||
![]() | |||||||||||||||||||||||||||||
그림 4. 지표식물 ps-95 | |||||||||||||||||||||||||||||
7. 방제대책 | |||||||||||||||||||||||||||||
검은점병은 현재 시판되는 어떠한 약제로도 방제하거나 예방할 수 없다. 그러므로 무병묘목을 생산해서 심고 잘 관리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무병묘목을 생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먼저 무병모수를 잘 선정해야 한다. 그리고 모든 묘목생산 및 고접할 접수는 무병모수 로부터 접수를 채취하여 접목을 해야한다. 무병모수 선정은 기존의 나무에서 현재까지 병징이 없는 나무에 지표식물(ps-95)을 접목하여 검정하는 방법이 있다. 대부분 접목 당년에 병징이 나오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3년후에 병징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접목방법은 아접하는 경우에는 8~9월, 절접하는 경우에는 3~4월에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검정할 나무당 2곳 이상 접목검정을 해야 안전하다. 다른 한 방법은 열처리에 의한 방법으로 주간 30~40℃ 야간 30℃의 생육상에 1개월 정도 열처리하여 생장점 배양을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정밀한 기술을 요하므로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다. 농가에서 현재 이병에 걸렸다고 성과기에 접어든 나무를 베어내면 경제적 손실이 상당히 크다. 따라서 발병엽율이 80% 이상되는 나무는 베어내는 것이 경제적이다. 또한 발병엽율이 중정도 되는 나무는 수황배, 감천배, 행수, 풍수, 신수 등과 같은 저항성 품종으로 고접갱신하고, 그 이하 가벼운 증세를 보이는 나무에서는 과실의 비대를 정상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과실 비대는 곧 세포비대를 촉진시키므로써 대과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비대와 가장 관계깊은 것이 저장양분이다. 저장양분은 세포비대뿐만 아니라 다음 해의 발아, 개화에도 중요하므로 저장양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확후에도 늦게까지 건전한 잎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나 검은점병에 걸리면 늦게까지 건전한 잎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수세관리와 과실비대를 위해서는 적과를 검은점병이 발생한 잎만큼 반드시 실시하여야 충실한 과실을 얻을 수 있다. | |||||||||||||||||||||||||||||
| |||||||||||||||||||||||||||||
참 고 문 헌 | |||||||||||||||||||||||||||||
기운계 외. 1984. 배나무 검은무늬병균 (alternaria kikuchiana tanaka)의 병원성분화와 저항성품종의 이병화. 한식보호지. 남기웅 외. 1994. 배나무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1. 발생상황과 피해. 한식병지. _______외. 1995.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2. 원인구명. 한식병지. _______외. 1995.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3. 병원의 접목전염. 한식병지. _______외. ____.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5. 지표식물 선발. 한식병지. _______외. ____.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6. 간이검정법 개발. 한식병지. _______외. ____. 배나무잎 검은점병(구: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7. 병원바이러스의 동정. 한식병지. 홍경희 외. 1985. 배잎의 이상반점 증상에 관한 연구. 농시론문집(원예). 野田健男 외. 1958. 和梨の俗稱褐斑病に關する硏究(第 2報) 藥劑撒布, 病枝よりの穗木採取節位. 岾根の良否. 土壤條件等と發病との關係. 農業及園藝, 33:381-382. _________외. ____. 和梨の俗稱褐斑病に關する硏究(第 3報) 岾木と穗の相互間の傳染と品種間差異. 農業及園藝. _________외. 1959. 和梨の俗稱褐斑病に關する硏究(第 4報) 苗木健否と生長との關係, 竝ひ"に數品種の中間台お通しての發病について. 農業及園藝. Posnette,a. f. 1963. virus diseases of apples and pears. co㎜onwealth agricultural bure au. |
'삶에지식 > ☎과수 배(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의 영양생리 및 거름주기 (0) | 2007.01.06 |
---|---|
배 붉은별무늬병 (0) | 2007.01.06 |
배 잎 황화현상 (0) | 2007.01.06 |
배과원의 병해충 방제방법 (0) | 2007.01.06 |
배 착과 관리 40% 감축 작업체계 (0) | 2007.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