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마을(중요민속자료 제 122호)은 풍산류씨가 600여 년간 대대로 살아온 한국의 대표적인 동성마을이며,
기와집과 초가가 오랜 역사 속에서도 잘 보존 된 곳이다. 특히 조선시대 대 유학자인 겸암 류운룡과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낸 서애 류성룡 형제가 태어난 곳으로 유명하다.
마을 이름을 하회(河回)라 한 것은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마을을 감싸 안고 흐르는 데서 유래되었다. 하회마을은
풍수지리적으로 태극형ㆍ연화부수형ㆍ행주형에 일컬어지며, 이미 조선시대부터 사람이 살기에 가장 좋은 곳으로도
유명하였다. 마을의 동쪽에 태백산에서 뻗어 나온 해발 271m의 화산(花山)이 있고, 이 화산의 줄기가 낮은 구릉지를
형성하면서 마을의 서쪽 끝까지 뻗어있으며, 수령이 600여 년 된 느티나무가 있는 곳이 마을에서 가장 높은 중심부에
해당한다. 하회마을의 집들은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강을 향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향이 일정하지 않다.
한국의 다른 마을의 집들이 정남향 또는 동남향을 하고 있는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이다.
또한 큰 기와집을 중심으로 주변의 초가들이 원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라 하겠다.
하회마을에는 서민들이 놀았던 ‘하회별신굿탈놀이’와 선비들의 풍류놀이였던 ‘선유줄불놀이’가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전통생활문화와 고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문화유산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국내 최초의 실경 수상 뮤지컬 부용지애가 펼쳐지는 부용대는 마을 북쪽 강 건너에 자리 잡고 있다.
해발 64m의 부용대는 그 자체로 수려한 경관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주변에 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기도 하다.
부용대 양쪽으로 겸암 류운룡이 학문을 닦았던 겸암 정사와 서애 류성룡이 징비록(국보 132호)을 저술했다는
옥연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겸암과 서애 형제가 다녔다고 전해지는 층길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하회탈은 고려 중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로 만든 가면이다.
가면의 사실적인 표정과 뛰어난 제작기법은 고려인들의 탁월한 예술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된 세계적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회마을에는 탈에 얽힌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허씨들이 마을에 터를 잡고 살 때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우환이 계속되자 마을 사람들의
걱정이 대단했다.
어느 날 이 마을에 사는 허도령의 꿈에 산신령이 나타나서 말했다.
‘지금 마을에 퍼지고 있는 재앙은 이 마을을 지켜주는 신의 노여움 때문이라 일러주며
탈을 만들어 춤을 추면 신의 노여움이 풀리고 마을이 다시 평안을 찾을 것이다.
그러나 탈을 만드는 것은 아무도 모르게 해야 하며, 만일 누군가 엿보거나 알게 되면
부정이 타서 그 자리에서 피를 토하고 죽게 될 것이다.’
허도령은 꿈이 너무나 기이하고 생시같이 느껴져서 그날부터 동네 어귀에 움막을 짓고 탈을 만들게 되었다.
그런데 마을에는 허도령을 사모하는 김씨 처녀가 있었다. 김씨 처녀는 허도령에 대한 그림움에 사무쳐 그만 탈을 제작하는 탈막으로 다가가 엿보고 말았다.
그러자 뇌성벽력이 치더니 허도령은 피를 토하고 죽고 말았다. 허도령이 죽게 되자 처녀는 죄의식에 사로잡혀 자결하고 말았다.
그 후 사람들은 처녀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화산 중턱에 서낭당을 짓고 김씨 처녀를 서낭신으로 모시고 매년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지내고 몇 년에 한 번씩 탈을 쓰고 별신굿을 하였다고 한다.
하회탈은 모두 11개가 전해지는 데 주지 2개, 각시, 중, 양반, 선비, 초랭이, 이매, 부제, 백정, 할미탈이 있다.
이밖에 총각, 별채, 떡다리 탈이 있었다고 하는데, 분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병산탈은 2개가 남아있다.
원래 하회탈은 5년 또는 10년마다 행해지는 정월 대보름의 별신굿 때 쓰였다. 마을사람들은 탈을 신성하게 여겨 함부로 손댈 수 없었다.
일제강점기에 탈을 보관하던 동사(同舍)에 불이나자 누군가가 잽싸게 뛰어 들어가 탈을 꺼내왔고, 그 덕분에 지금까지 하회탈이 보존될 수 있었다고 한다.
한국의 탈은 대게 바가지나 종이로 만들어 오래 보존된 예가 드물며, 탈놀이를 끝낸 후 태워버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반해 하회탈과 병산탈은 나무로 깎은 탈로서 고유한 조형미를 갖추고 있다.
탈의 재료는 오리나무이며 그 위에 옻칠을 여러 겹으로 칠해 정교한 색을 내고 있다. 신분과 성별에 따라 고유한 선과 조형을 이루고 있으며,
턱은 따로 조각하여 매달아 움직일때마다 다양한 표정을 연출할 수 있다.
'나의 서재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옛날을 생각해 보자~ (0) | 2015.09.25 |
---|---|
오늘을 생각해본다. (0) | 2014.12.24 |
오늘도 아파오는 내 가슴이 너무 아파온다. (0) | 2012.10.06 |
나는 오늘로써 세상을 다시 보기로 했다 (0) | 2011.11.23 |
도산서원 추향사에서... (0) | 201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