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붉은별무늬병 배 붉은별무늬병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성명 : 김충회 전화 : 031-290-0402 1. 발생상황 이 병은 1914년 수원, 개성 등지에서 처음으로 발생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나 그 이전부터 발생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피해도 해에 따라서 심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다가 1960년대 후반에 와서 이 .. 삶에지식/☎과수 배(梨)☎ 2007.01.06
배나무잎 검은 점병 방제대책 배나무잎 검은 점병 방제대책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성명 : 남기웅 전화 : 031-290-0442 우리나라의 배는 품질이 우수하여 국제경쟁력 있는 수출유망작목으로 각광받고 있어 그 재배 면적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70년대 후반부터 배나무잎에 검은무늬병과 유사한 이상반점증상.. 삶에지식/☎과수 배(梨)☎ 2007.01.06
배 잎 황화현상 배 잎 황화현상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성명 : 윤석규 전화 : 061-331-7278 배 나무의 잎 황화 현상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각 원인에 따라 발생 증상이 조금씩 다르다. 배과원에서 주로 철분(fe) 결핍에 의한 잎 황화현상으로 신초가 신장하는 5~7월경에 신초선단1부위 잎들이 황.. 삶에지식/☎과수 배(梨)☎ 2007.01.06
배과원의 병해충 방제방법 배과원의 병해충 방제방법 기관 : 원예연구소 성명 : 임명순 전화 : 031-290-6271 1. 월동기 방제 가장 신경을 써야하는 해충은 가루깍지벌레이다. 이 벌레는 거친 껍질 밑이나 전정시 절단면 틈 등에서 월동하므로 약제방제가 힘들다. 그러므로 월동기에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기계유유제��� 살포하여 .. 삶에지식/☎과수 배(梨)☎ 2007.01.06
배 착과 관리 40% 감축 작업체계 배 착과 관리 40% 감축 작업체계 돗토리(鳥取)현 원예시험장은 배「오사골드」의 착과(着果) 관리시간을 40% 줄이는 작업체계를 확립했다. 적과(摘果) 뿐 아니라 적뢰(摘蕾), 마무리적과 등의 복합적 작업을 통해 10a당 30.8시간에 끝낸다. 배 품질 또한 떨어지지 않는다. 적과에만 의지하던 종래의 .. 삶에지식/☎과수 배(梨)☎ 2007.01.05
기획연재 기획연재 아삭아삭 시원 달콤! 우리의 배 맛이 세계에서 최고 좋아 - 추석의 대표 과일, 달고 시원한 맛 단연 으뜸 둥그런 보름달을 연상시키는 추석의 대표 과일 배, 달고 시원 맛이 일품인 우리나라 배 맛은 세계적으로 단연 으뜸이다. 우리나라 배의 5대 산지로는 나주, 울산, 성환, 평택, 안성을 꼽는.. 삶에지식/☎농업··경제☎ 2007.01.05
정책속보(보도자료) 정책속보(보도자료) 후지사과·신고배 착색, 당도 판정판 개발 후지사과와 신고배의 착색정도와 과일 모양만 보고도 당도를 판정할 수 있는 ‘비파괴당도판정판’이 개발됐다. 이번에 개발된 비파괴 당도 판정판은 빛의 3원색을 기준으로 한 RGB(레드, 그린, 블랙)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자연색의 왜곡.. 삶에지식/☎농업··경제☎ 2007.01.05
배나무이의 피해를~~~ 배나무이의 피해를~~~ 1. 콩가루벌레(黃粉蟲) 가. 기주식물 : 배나무 나. 가해상태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해충이어서 봉지를 씌운 과실에 피해가 많다. 최근 수출을 위하여 봉지씌우기가 성행하므로 더욱 주의를 필요로 한다. 피해과실은 표면에 콩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벌레가 달라붙어 즙액을 빨아.. 삶에지식/☎과수 배(梨)☎ 2007.01.05
배나무에 철사를 묶어놓으면 열매가 많이 열린다? 배나무에 철사를 묶어놓으면 열매가 많이 열린다? 예로부터 열매가 잘 열리지 않는 호두나무나 감나무 등에서 밑둥을 도끼로 쿵쿵 찍어 놓으면 이듬해에는 열매가 많이 열리거든요. 이유는 잎에서 광합성 작용으로 만들어진 탄소화합물질은 뿌리부터 차곡 차곡 쌓여 올라가게 되는데요. 이 탄소화합.. 삶에지식/☎과수 배(梨)☎ 2007.01.05